서비스 단을 의존성으로 설정

  • 서비스 간 비즈니스 로직을 명확히 분리할 수 있다.
  • 따라서 유지보수성을 높일 수 있다.

 

레포지토리 단을 의존성으로 설정

  • 타 서비스에 대한 의존성을 줄일 수 있고, 직접 데이터를 빠르게 접근할 수 있다.
  • 특정 영역에서 처리해야 할 비즈니스 로직이 다른 영역으로 흩어질 수 있다.

결론

비즈니스 로직이 존재할 경우 : 타 서비스단의 기능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.

단순히 데이터만 가져오는 경우 : 비즈니스 로직이 별로 없다면, 타 레포지토리단의 기능을 직접 호출해도 괜찮다.

 

+ Recent posts